공돌이 출신의 국내 1호 의미공학자가 제안하는 성장 실천법

[한국강사신문 유재천 칼럼니스트] 마음이란 무엇일까? 여러 가지 표현이 있을 수 있겠지만 그 마음도 나 자신이다.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에서 나는 내 마음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사실 마음을 아는 것의 정도 혹은 끝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내 마음이 내는 소리를 외면하거나 알아주지 않으면 이상 신호가 오는 것은 확실하다.

마음은 나 자신이고 자신과 맞지 않는 상황에서는 어떤 형태로든지 신호를 보낼 것이기 때문이다. 그 신호를 잘 알아차려야 하지만 쉽지 않다. 외면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인하면 오히려 자신의 상태를 알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신호조차 알 수 없을 정도로 이끌려가고 일시적인 삶을 살아내고 있다면 문제가 있다.

마음이 편안하면 기분이 좋다. 안정감이 들고 만족스럽고 기쁜 감정도 올라온다. 누구나 마음이 편안하길 원하지만 우리가 하는 일, 경험, 관계, 상황에서 마음이 움직인다. 크게 움직이면 요동치는 것이고 작게 움직이면 작은 신호들과 함께 내가 마음을 유지하는 것이다. 요동치지 않는 마음을 위해 먼저 해야 할 일이 내 마음을 아는 것이다. 감정이 곧 마음이다. 그런데 그 감정을 알아채지 못하고 강요된 생각으로 알아주지 못한다. 그런 경우에는 혼란스러운 감정에 사로잡힐 가능성이 크다. 자신의 감정을 명확하게 포착하고 풀어야 한다. 내가 마음공부를 하기 위해 배운 『감수성 훈련』의 유동수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감정이 마음속에서 우러나온 것이든 외부의 자극을 받고 생겨난 것 이든 즐거운 것이든 고통스러운 것이든 그 어느 것도 영원불변의 실체는 없으며 변화무쌍한 것이 감정의 실체이다. 일생 동안 다양하고 많은 감정들을 느끼게 되지만, 그 감정들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감정에 사로잡히지 않되 마음을 알아주기 위해선 이 감정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는 것이 먼저 필요하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판단하지 않는 것이다. 판단하면 있는 그대로 관찰하지 못하고 분석 하고 단정 지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있는 그대로 관찰한 후 올라오는 느낌과 감정을 그대로 표현해보는 것이 중요하다. 사실 갑자기 한다고 쉽게 되지는 않는다. 연습 그리고 훈련이 필요하다.

이 과정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내 마음을 알기 위한 노력이고, 이렇게 해야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 즉 나의 욕구를 제대로 알 수 있다는 점이다. 유동수 씨의 말대로 흘러가는 감정이다. 하지만 그때의 감정을 잘 이해할 줄 알아야 내 마음을 아는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마음의 요동이 커지고 자가 치유 능력은 감소한다.

나는 나이를 먹어가며 아울러 많은 경험을 하면서 나를 알아가는 과정을 겪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내가 좋아하는 일, 내가 하고 싶은 일, 내가 가진 강점, 보완점 등을 발견했다. 이 정도면 괜찮은 성장 과정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정작 중요한 ‘나의 마음’은 거의 모르고 있었다. 다시 말해 내가 가진 것을 파악하는 데까지는 왔지만 나를 이해하는 정도에는 많이 미치지 못했다. 그동안 나를 그냥 흘러가는 대로 두었다고 볼 수 있다.

내 마음을 알아차리고 이해하지 못하면서 그저 배려라는 허물로 상대방 마음을 조금이라도 헤아려 보려고 흉내만 낸 듯하다. 그 과정에서 내가 좋은 사람으로 비춰지길 바라는 ‘착한아이 콤플렉스’만 반영되었다. 돌이켜 보면 그냥 좋은 쪽으로만 적당히 생각하며 방어적으로 살아왔음을 느낀다. 이도 저도 아니다. 우선 나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는 계속 방법을 생각한다. 그래서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좋아하고 방법과 방법론을 좋아한다. 모든 것을 거창한 방법론으로 만들려는 것은 아니다. ‘나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어찌 됐든 필요한 시작이다. 나의 답변은 ‘공감’이다. 공감이 필요하다. 공감이란 어떠한 개입이나 판단 없이 존중하는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상대에게도 마찬가지이고 나에게도 동일하다.

우리는 흔히 공감하는 대신 나의 느낌을 전달하고, 상대방을 안심시키고, 조언하고 싶은 욕구를 먼저 느낀다. 마음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그 안에 어떤 욕구가 있는지 조용히 듣는 자세이다. 나의 욕구를 강요받은 생각이나 사회가 원하는 스펙에 의해 듣지 않으려고 다른 구석으로 보낸 경험이 있다면 자신에 대한 공감을 피했다고 볼 수 있다.

※ 참고자료 : 의미공학자 유재천 코치[前 포스코(POSCO) 엔지니어]의 『성장, 의미로 실현하라 : 공돌이 출신의 국내 1호 의미공학자가 제안하는 성장 실천법(행복에너지, 2017)』

 

유재천 칼럼니스트는 의미공학연구소 대표로서 조직과 개인의 행복한 성장을 돕는 코치로 활동 중이다. 재료공학을 전공한 후 포스코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경영대학원에서 리더십과 코칭 MBA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저서로는 스타강사 12인의 미래계획서 『강사 트렌드 코리아 2019(지식공감, 2018.10.9)』(공저)를 비롯해 『성장, 의미로 실현하라』, 『여행이 끝나도 삶은 계속된다』 등이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