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이미숙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상설전시관 2층 서화실 내 주제전시실에서 3월 19일부터 “마음으로 듣는 새들의 노래”를 주제로 새로운 작품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김창익,《꽃과 새》 중 <연꽃과 오리>, 20세기, 종이에 색 <사진=국립중앙박물관>

이번 전시는 17세기 조선 사대부 화가들이 그린 서정적인 화조화를 소개한다. 아울러 19세기~20세기 초반의 자유분방한 민화풍 화조화도 함께 만날 수 있다.

계절과 복을 부르는 새

이번 전시에서는 화조화에 담긴 새의 문화적 의미를 함께 조명하였다. 동아시아에서는 새를 문학과 그림으로 표현하는 오랜 전통을 지니고 있다. 일찍이 고구려 유리왕琉璃王(재위 BC 19∼AD 18)은 「황조가黃鳥歌」를 지어 쌍쌍이 나는 꾀꼬리 부부의 정을 애틋하게 노래하였다. 새는 계절을 부르는 전령傳令으로 여겨졌다. 조선시대에는 새들의 생태적 모습을 사계절에 은유한 ‘사계화조四季花鳥’ 유형의 그림이 유행하였다. 봄의 제비, 여름의 물총새, 가을의 백로, 겨울의 기러기는 계절을 대표하는 철새로서 널리 그려졌다.

화조화는 옛 사람들의 복된 소망을 함께 담은 경우가 있다. 백로와 연밥을 뜻하는 ‘일로연과一鷺蓮果’는 ‘일로연과一路連科’와 발음이 같아 소과小科와 대과大科에 연이어 급제하라는 기원과 격려의 의미를 지닌다. 한국인에게 가장 친숙한 텃새인 까치는 기쁜 소식을 전해준다는 의미에서 ‘희작喜鵲’이라고 불렸다. 사람들은 까치 그림을 벽에 걸면서 집안에 경사가 있기를 소망하였다.

잔잔한 서정의 세계, 17세기 화조화

조선시대의 고아한 수묵 화조화 여러 점도 한 자리에 선보인다. 김식金埴(1579~1662), 조속趙涑(1595~1668)을 비롯한 사대부 화가들은 문인文人다운 시적 정서를 수묵이나 담채淡彩로 그린 화조화에 표출하였다. 비어있는 듯 간결한 김식의 화조화는 17세기 사대부 화가들의 이상적 미의식을 대표한다. 조속의 〈메마른 가지 위의 까치〉는 대상에 대한 깊은 애정과 관찰력이 번득이는 작품이다. 부리를 턱에 부비며 깃털을 고르는 까치의 묘사는 우리 주변에서 찾아 낸 자연의 아름다움이다.

평범한 이들을 위한 비범한 그림

자수 병풍과 자유분방한 민화풍 화조화도 이번 전시를 수놓고 있다. 강렬한 채색으로 화면을 가득 채운 화조화는 현세의 행복에 대한 희망을 품고 있다. 강릉에서 활동한 취소翠巢 김창익金昌益의 <화조도>는 작가가 알려진 흔치 않은 민화로, 꽃과 새를 서툰 듯 천진하게 변형한 개성이 돋보인다.

그림 속 새들의 모습을 감상하노라면 그 노랫소리가 마음에 스며들 것이다. 사대부에서 백성에 이르기까지, 옛 사람들이 새에 빗대어 소망했던 따듯한 세계를 화조화에서 느껴보시기 바란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