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선 박사 <사진=JTBC 차이나는 클라스>

[한국강사신문 정헌희 기자] 오늘 13일(수) 21시 30분 JTBC <차이나는 클라스-질문 있습니다 (이하 ‘차이나는 클라스’)>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이자 신경 인류학자인 박한선 박사가 ‘마음의 진화, 약하니까 인간이다’를 주제로 출연진과 이야기를 나눈다. 치과의사이자 방송인인 김형규가 게스트로 참여한다.

최근 진행된 ‘차이나는 클라스’ 녹화에서 박한선 박사는 “인류의 감정은 무려 약 4,500개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감정들은 수렵 채집 시절부터 만들어져 지금까지 살아남은 진화의 산물이다. 그러니 생존에는 무엇보다 탁월하지만 급변하는 우리의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끊임없이 파열음을 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바로 우리가 ‘마음의 병’이라 부르는 문제들도 바로 이 파열음 때문이다.

박한선 박사는 인간의 기본 감정 중 ‘프라임 감정’으로 ‘공포’를 꼽아 눈길을 끌었다. 공포증은 누구나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증상이다. 이에 지숙은 “큰 소리만 들으면 몸이 굳어지는 ‘큰 소리 공포증’이 있다”라고 밝혔다. 강지영 역시 “뾰족한 모서리 부분만 보면 소름이 돋는 ‘모서리 공포증’이 있다”라고 고백해 학생들의 공감을 샀다.

그런데 만약 사람에게 공포증이 아예 없다면 어떨까. 박한선 교수는 연구용 코드로 기록이 남아있는 한 여인 SM-046의 사례를 소개했다. SM-046 코드의 여인은 불안과 공포를 담당하는 뇌 편도체에 이상이 생기는 희귀병을 겪고 공포를 느끼지 못하게 됐다.

'공포를 느끼지 못하면 슈퍼히어로가 될 것 같다'라는 많은 이들의 상상과는 달리, 여인은 폭행과 사고를 당하고도 기억을 하지 못해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겪게 됐다. 박한선 박사가 덧붙인 공포가 인류에게 필요한 이유는 본 방송에서 공개된다.

한편 박한선 박사는 인간의 마음을 신경과학, 인류학의 관점에서 탐구하는 신경인류학자다. 정신과 의사로서 겪은 임상 경험을 더해 마음을 보다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틀을 제시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분자생물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호주 국립대학 ANU 인문사회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고,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강사, 서울대학교 의생명연구원 연구원, 성안드레아병원 과장 및 사회정신연구소 소장, 동화약품 연구개발본부 이사 등을 지냈다.

현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와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지내며 연구, 강의, 집필 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재난과 정신 건강』, 『정신과 사용설명서』, 『내가 우울한 건 다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때문이야』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행복의 역습』, 『여성의 진화』, 『진화와 인간 행동』 등이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