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정형권 칼럼니스트] 도덕경이라는 책의 원래 이름은 도덕경이 아니라 노자라는 사람이 지었다고 해서 그냥 《노자》라고 불렀다. 이 책의 저자인 노자는 신비에 싸여 있는 인물이다. 사마천의 사기에 노자에 대해 잠깐 언급되어있는데 공자와 만나 대화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공자가 주나라에 가서 노자에게 예(禮)에 대해 묻자 노자가 말했다. “그대가 말하는 예는 그것을 말했던 성현들도 뼈와 더불어 모두 썩어버리고, 오직 그 말만 남아있을 뿐이오. 그리고 군자는 때를 얻으면 수레를 타게 되지만, 때를 얻지 못하면 떠돌아다니게 되는 법이오. 내가 듣기로 훌륭한 장사꾼은 물건을 깊이 감추어 초라한 듯이 하고, 군자는 아름다운 덕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 모습은 어리석은 듯이 한다고 했소. 그대는 교만한 기운과 욕심, 잘난 체하는 태도와 바르지 못한 생각을 버려야만 하오. 이런 것들은 모두 그대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소. 내가 그대에게 알려줄 수 있는 말은 다만 이것뿐이오.”

공자는 돌아와서 제자들에게 말했다.

“나는 새가 하늘을 잘 난다는 것을 알고, 물속의 고기는 헤엄을 잘 친다는 것을 알며, 들판의 짐승은 잘 달린다는 것을 안다. 달리는 짐승은 그물로 잡을 수 있고, 헤엄치는 물고기는 낚싯줄로 잡을 수 있으며, 하늘을 나는 새는 주살로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용에 이르러서는 나는 능히 알 수가 없다. 용은 바람과 구름을 타고 오르기 때문이다. 나는 오늘 노자를 만났는데, 그는 마치 용과 같았다.”

노자는 초나라 고현(苦縣)의 여향(厲鄕) 곡인리(曲仁里) 사람으로 주나라 왕실 서고의 사관(史官)이었다. 노자는 도와 덕을 닦았는데 스스로 재능을 숨겨 이름이 드러나지 않기를 힘썼다. 주나라에 오래 살다가, 주나라가 쇠퇴해지는 모습을 보고 마침내 그곳을 떠났다. 함곡관(函谷關)에 이르자 관을 지키는 수장(守將) 윤희(尹喜)가 노자를 보고 간청했다.

“선생께서 장차 숨으려 하시니 저를 위해 가르침을 남겨 주십시오.”

이에 노자가 도덕의 뜻을 5천여 자의 글로 남기고 떠났다. 그가 어떻게 생을 마쳤는지는 아무도 알지 못한다. 그런데 이 《노자》는 두 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는 도(道) 편이고 또 하나는 덕(德) 편이다. 그래서 후대에 도와 덕을 합쳐 도덕경으로 부르게 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노자 도덕경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고 있을까? 그것은 바로 위‧촉‧오 삼국시대 말기 천재 사상가 왕필(王弼, 226~ 249)이 정리한 것이며, 흔히 왕필본 혹은 통용본이라고 부른다. 왕필이 태어난 이듬해 3월에 제갈량은 출사표를 올리고 위나라 정벌에 나섰다. 왕필은 24세라는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현존하는 《노자주》 가운데 최고의 명주석으로 꼽히는 《노자주(老子註)》와 천여 년 동안 과거(科擧)의 교과서로 쓰였던 《주역주(周易註)》를 남겼다. 《노자주》를 중심으로 한 노자 사상과 《주역주》를 중심으로 한 주역 사상이 왕필 사상의 두 축을 구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근구수왕이 태자로 있을 때 침입해 온 고구려군을 패퇴시키고 계속 추격하려 하는 순간, 휘하의 장수 막고해(莫古解)가 다음과 같이 간언하였다는 기록이 나타난다.

“듣기로는 도가의 말에, 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고, 멈출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고 합니다. 이제 얻은 것이 많은데 더 욕심을 내어서 무엇 하겠습니까?”

이 말을 듣고 추격을 중지했다고 하는데, 이 구절은 《도덕경》 제44장에 나오는 말이다. 도덕경의 구절이 장수의 입에까지 오를 정도였다면 당시 사회에서는 상당히 널리 퍼져있었으며 영향력 또한 만만치 않았음을 알 수 있다.

※ 참고자료 : 정형권의 『인생고전(人生古典, 렛츠BOOK, 2017)』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