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오늘 20일(수)은 24절기 중 여덟 번째 절기 ‘소만(小滿)’이다. 소만이란 농작물이 자라서 약간의 곡식이 여무는 때란 뜻으로 양력으로 5월 21일 무렵에 든다.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들어 햇볕이 풍부하고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작지만(소, 小) 가득 찬다(만, 滿)는 의미가 있다.

‘소만’이 되면 밀과 보리에 이삭이 올라온다. 이 산 저 산 뻐꾸기 울어대고 찔레, 아카시 꽃이 필 때다.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다. ‘소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그래서 맹하는 초여름이라는 뜻인 이칭도 있다.

벼농사를 주로 짓던 우리 조상들은 이 절기를 모내기 시작의 기준으로 삼았다. 물론 요즈음은 비닐하우스 등에서 볏모를 기르므로, 모내기철이 예전보다 훨씬 이르게 되었다. 또한 소만이 되면 보리가 익어가며 산에서는 부엉이가 울어댄다. 이 무렵은 ‘보릿고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식이 떨어져 힘겹게 연명하던 시기이다. 모든 산야가 푸른데 대나무는 푸른빛을 잃고 가을을 만나듯 그 잎이 누렇게 변한다. 이는 새롭게 탄생하는 죽순에 영양분을 공급해 주기 때문이며 이런 연유로 봄철의 누런 대나무를 가리켜 죽추(竹秋)라고 한다.

이때 나온 죽순을 채취해 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으면 그 맛이 담백하면서도 구수해 계절식 가운데 별미로 치기도 한다. 그밖에 냉잇국도 이즈음의 별식이지만, 소만이 지나 꽃이 피면 먹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절기가 소만에 이르면 남쪽 따뜻한 지방에서부터 감자꽃이 피기 시작한다. 이 무렵에 부는 바람이 몹시 차고 쌀쌀하다는 뜻으로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이 있다.

입하와 소만 무렵에 행했던 풍속으로는 봉선화 물들이기가 있다. 봉선화가 피면 꽃과 잎을 섞어 찧은 다음 백반과 소금을 넣어 이것을 손톱에 얹고 호박잎, 피마자잎 또는 헝겊으로 감아 붉은 물을 들인다. 원래 이 풍속은 오행설에 붉은색[赤]이 사귀(邪鬼)를 물리친다는데서 유래하였다.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에 봉선화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외에 풋보리를 몰래 베어 그슬려 밤이슬을 맞힌 다음 먹으면 병이 없어진다고 여겼으며, 풋참밀 이삭을 잘라 껍질을 벗긴 다음 알맹이를 입에 넣고 껌처럼 잘근잘근 씹어 먹기도 하였다.

“보리가 누렇게 익어 간다는 보리누름 ‘소만’”

보름이 지나 달이 기울기 시작하고 소만이 다가온다. 소만이란 작물이 자라서 약간의 곡식이 여무는 때란 뜻이란다. 정말 밀과 보리에 이삭이 올라온다. 이 산 저 산 뻐꾸기 울어대고 찔레, 아카시 꽃이 필 때다. 아카시 필 때 여기는 때죽나무꽃이 좋다. 때죽나무는 하얗고 깨끗한 꽃이 아래를 보며 핀다. 그 단아한 모습이 아주 예쁘다.

때죽나무와 아카시 꽃이 피어나니 온 산천이 향기롭다. 낮에는 뻐꾸기 울음소리가 일손을 재촉하고, 밤에는 소쩍새 소리에 시름없어진다. 새벽부터 까치들이 온 밭을 헤집고 돌아다니는 소리에 깨어나면, 곳곳에서 일손을 기다리니 하루해가 금방 간다. 그 가운데 모내기가 으뜸이라 이맘때 인사는 "모내기 했어?"다.

모내기 뒷정리를 하고 모가 허리를 펴면, 논에 오리나 우렁이를 넣는다. 오리는 모내기 날 태어난 어린오리가 좋다. 어린 오리는 잘 돌보아야 하므로 일단 오리가 논에 들어오면 논농사는 사실 오리 돌보기로 바뀐다. 아침이면 오리 집 문을 열어 주고 해거름엔 오리를 집에 넣고. 아침저녁으로 오리한테 문안 인사를 한다. 사람이 오리한테 정성을 들일수록 오리는 즐겁게 논농사를 대신하지만, 오리를 돌보는 일은 만만치 않다. 조류독감이 몰아치고 나서 오리 농사가 점점 줄어들고 그 자리를 왕우렁이가 채우고 있다. 우리 역시 왕우렁이를 넣는다.

왕우렁이는 외래종 우렁이로 물속에 있는 어린 풀을 갉아먹는 습성이 있다. 이놈이 풀을 먹어 주니 사람은 가만 앉아서도 김을 맬 수는 있다. 이 얼마나 좋은가? 오리처럼 날마다 모이를 주지 않아도 되니 한번 넣으면 끝이다. 다만 이 우렁이가 물 아래 있는 풀만 먹으니 만일 그 때를 놓쳐 풀이 물 위로 올라오면 그건 사람이 손으로 매 주어야 한다. 우렁이는 또 물이 깊은 곳을 좋아한다. 그래서 논에 수평이 맞지 않아 물이 야트막하게 대진 곳, 땅이 드러난 곳에서는 우렁이가 먹지 않는다.

※ 참고자료: 보리가 누렇게 익어 간다는 보리누름 소만(농사꾼 장영란의 자연달력 제철밥상), 소만(小滿) 만물이 점차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8번째 절기(위대한 문화유산)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