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김수인 기자] 저서 <전염병 전쟁(철수와영희, 2020)>은 한국전쟁 70주년을 맞아 한국현대사에서 한국전쟁에 대해 꾸준히 관심을 갖고 당시 민중의 삶을 연구해온 역사학자 이임하의 ‘한국인의 일상을 바꾼 한국전쟁과 전염병’에 대한 이야기를 담았다. 코로나19 등 새로운 전염병으로 힘들어하는 지금 시기에 어떤 삶의 방식이 인간과 환경이 서로 공존할 수 있는 지혜로운 선택인지 생각해 볼 수 있는 단초를 제시한다.

그동안 한국전쟁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주로 전투를 중심으로 다루어졌고, 전염병처럼 민중의 일상적 삶과 밀접한 주제를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기에 한국전쟁 당시 민중들의 다양한 삶을 입체적으로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 사회에서 가장 많은 전염병이 돌았던 시기는 한국전쟁 때이다. 당시 장티푸스, 두창, 발진티푸스 등이 급속하게 퍼졌다.

이 책은 한국전쟁 기간에 유행한 전염병과 전염병 방역, 보건 의료 정책 등을 중심으로 민중의 삶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체적으로 담았다. 한국전쟁 당시 전염병에 대한 증언과 5만 장이 넘는 관련 문헌, 연도별, 시도별 통계와 전염병 관련 포스터와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전염병이 어떻게 유행했는지, 전염병 방역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 전염병 대책과 보건 의료 정책이 보건 위생과 관련해 한국인의 일상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자세히 살펴본다.

한국전쟁 기간 전염병 관리는 주한 유엔 민간원조 사령부(UNCACK)가 맡았다. 당시 주한 유엔 민간원조 사령부는 전염병 방역을 위해 모든 인구에 백신 접종을 실시했으며, DDT를 살포했다. 당시 영유아 정기 예방접종이라는 보건의료 체계도 마련되었다. 만 12세까지 받는 예방접종의 역사가 당시 시작된 것이다. 이때 한국에 공중보건 의료가 자리를 잡았다. 한국인에게 예방 접종과 DDT살포는 질병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고, 낯설지 않는 일상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한국전쟁 때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유엔군사령부가 취한 방법인 모든 인구의 백신 접종과 DDT화는 한반도를 넘어서 일본,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대만, 미얀마, 캄보디아 등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로 확장되었다. 그런데 예방 접종과 DDT살포 같은 보건과 위생의 잣대는 일상에서 폭력적으로 수행되었다. DDT는 인간, 가축, 수로, 우물, 가옥에 무차별적으로 뿌려졌다. DDT는 독성이 강해 소량으로 사용하거나 피부에 노출되면 안 되었지만, 한국에서는 그 위험성이 중요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DDT는 소독약으로 이나 파리, 모기의 박멸제이고 급성전염병인 발진티푸스 또는 유행성 뇌염을 예방해주는 약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예방 접종 확인은 방역증 발급과 검사로 이루어졌는데, 예방주사증으로 불리는 방역증 소지 여부로 통행과 외출을 통제받았으며, 방역증이 없으면 식량배급을 받지 못했다. 방역증은 국민을 통제하며 국민과 비국민을 가르는 경계선으로 작동했다.

전염병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또는 전파자가 여자로 묘사되기도 했는데, 여성의 무지로 전염병이 확산된다는 등 전염병의 젠더화가 자주 일어났다. 특히 주한 유엔 민간원조 사령부(UNCACK)가 발행한 위생 교재에 이런 내용들이 빈번하게 등장했다. 현재 우리의 일상도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전쟁 때와 마찬가지로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앞으로 또 어떤 신종 전염병이 나타날지 모를 상황이다. 이 책은 전염병 대책과 관련해 질병의 정확한 진단, 공존하는 생활을 고민하는 정책, 적절한 전문가 집단의 조언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불필요한 공포심 조장을 경계한다. 전염병에 대한 공포심은 지금까지 지켜온 공동체의 가치를 한순간에 무너뜨리며, 약한 대상에게 공격성을 드러낸다고 경고한다.

저자 이임하는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 교수다. 한국 전쟁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고 있으며 언제나 여성들의 이야기와 역사를 고민하고 있다. 쓴 책으로는 『조선의 페미니스트』, 『이임하의 여성사 특강』, 『10대와 통하는 선거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문화로 읽는 한국 현대사』, 『10대와 통하는 한국 전쟁 이야기』,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적을 삐라로 묻어라』,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 『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 『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 『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 『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동아시아의 전쟁과 사회』, 『전장과 사람들』, 『전쟁 속의 또 다른 전쟁』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