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김수인 기자]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한 부부 건축가의 직업 에세이. 언뜻 보면 멋있지만 사실은 치열하게 분투하며 더 나은 삶과 환경을 만들기 위해 고심하는 젊은 건축가의 일하는 마음을 담았다. 건축 설계의 가치, 작은 건축사사무소의 현실, 학교에서 배우지 못하는 건축 실무와 더불어, 건축가의 역할을 돌아보고 공공 건축의 의미와 중요성, 건축 현실의 문제점 등을 거침없이 이야기한다. 건축에 대한 어려운 미학적·추상적 담론이 아니라, 우리 사회, 우리 동네를 배경으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건축, 그리고 건축가라는 직업의 민낯이 담겨 있다.

저서 <부부 건축가 생존기, 그래도 건축(놀와,2020)>은 우리 주변에 있는 작은 건축사사무소의 생존기이자 젊은 건축가의 건축 열정기이며, 아이 셋과 함께 성장하는 건축가 부부의 성장기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몸이 아프면 의사를 만나고, 집을 지을 필요가 있으면 건축가를 만난다. 살다보면 몸이 아픈 일이야 자주 있을 테지만, 집을 짓는 일은 기껏해야 일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다. 그래서 일까? 건축가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고 그들이 어떤 일을 해줄 수 있는지도 잘 모른다. 아울러 건축을 (부동산이 아닌) 문화로서 접할 수 있는 기회 또한 많지 않다. 우리가 잘 모르는 건축가라는 직업, 건축 설계라는 일, 그리고 그들의 현실을, 오늘도 치열하게 살아가는 부부 건축가의 설계사무소에서 만날 수 있다.

부부 건축가는 만삭의 몸으로 사무소를 등록하고 닷새 뒤 셋째 아이를 낳았다. 부부 두 명이 대표인 동시에 직원 전부인 초라한 건축사사무소지만, 우연히 도전한 공모전에 당선되어 본격적으로 일을 시작하게 된다. 사무소와 나이를 같이하는 셋째를 아기띠에 안고 지방에 내려가 공모전에 등록하고, 유모차에 태워 공모전 시상식장에 들어가고, 회의실 한구석에 놀게 두고 회의하며 함께 성장했다. 학교 다목적강당 설계에서는 가장 중요한 아이디어가 훼손되어 절망할 때도 있었지만, 새로 생긴 다목적강당 덕분에 학교 가는 게 즐거워졌다는 학생의 팬레터에 힘을 얻기도 한다.

결혼을 약속하고 청첩장을 같이 디자인할 때 파혼에 이를 정도로 싸워서 ‘설계는 절대 같이하지 말자’고 다짐했던 둘이지만, 이제는 사무소의 공동 대표이자 일상생활을 함께 꾸리는 부부로서 싸우고 협력하고 버둥거리며 톱니바퀴처럼 철컥철컥 앞으로 나아간다. 젊은 부부 건축가의 사소한 시작, 치열한 일상, 그리고 지치지 않는 열정을 담았다.

저자 전보림은 서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서울의 소규모 건축 설계사무소에서 실무경험을 쌓았다. 2009년 유학을 위해 런던으로 이주하여 5년간 다양한 경험을 쌓은 뒤 2014년 귀국하여 아이디알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2017년 첫 준공작인 매곡도서관으로 신진건축사대상 대상,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등을 수상하였고,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하였다. 각각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서울시 공공 건축가와 행복도시 공공 건축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남편이자<부부 건축가 생존기, 그래도 건축>의 공저자 이승환과 함께 세 아이를 키우며 일하는 부부 건축가로서 블로그를 통해 공공 건축과 건축계 현실에 대한 글쓰기를 이어가고 있다.|||서울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서울의 소규모 건축 설계사무소에서 실무경험을 쌓았다. 2009년 유학을 위해 런던으로 이주하여 5년간 다양한 경험을 쌓은 뒤 2014년 귀국하여 아이디알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저자 이승환은 2017년 첫 준공작인 매곡도서관으로 신진건축사대상 대상, 한국건축문화대상 우수상 등을 수상하였고,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하였다. 각각 서울대학교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서울시 공공 건축가와 행복도시 공공 건축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아내이자, <부부 건축가 생존기, 그래도 건축>의 공저자 전보림과 함께 세 아이를 키우며 일하는 부부 건축가로서 블로그를 통해 공공 건축과 건축계 현실에 대한 글쓰기를 이어가고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