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김수인 기자] 저자의 남편이 육아휴직 후 누군가를 만나면 십중팔구 들었던 이야기. ‘아, 워킹맘을 두셨군요!’ 보통은 아내가 워킹맘일 때 남편이 육아휴직을 한다. 하지만 저자는 전업주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의 남편이 육아휴직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독박육아를 이겨내려고 애쓰다 실패했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그녀는 실패를 깨끗이 인정한 후 남편에게 육아휴직을 요구했고 행복을 되찾았다.

휴직 후 저자 부부는 웃는 날이 많아졌다. 이제야 사람이 사는 것 같았으니까. 육아휴직은 저자 가족에게 행복에 대한 정의를 다시 쓰게 만들었다. 꿈을 이뤄서, 돈이 많아서, 비싼 밥을 먹어서 행복한 것이 아니다. 일상이 지켜지지 않으면 행복은 요원한 일이다. 돈과 명예, 지위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일상도 노력해야 지킬 수 있다. 당당히 요구해야 하고 누가 그것을 뺏겠다고 하면 싸워서라도 지켜야 한다. 행복, 그 시작은 일상을 찾는 것에서 시작된다.

저서 <남편이 육아휴직을 했어요(태인문화사,2020)>은 아빠, 엄마, 아이들 가족 구성원 모두가 육아휴직을 통해 함께하며 삶의 밸런스를 맞추고 행복할 수 있었던 방법을 저자의 경험과 사례를 통해 풀어나갔다.

라테파파(latte papa)란 말이 있다. 한 손엔 커피를 다른 한 손엔 유모차를 끌고 다니는 아빠를 가르키는 말이다. 세계 최초로 남성 육아휴직을 도입한 스웨덴에서는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세종대왕 때 이미 시행한 바 있다. <세종실록>에는 노비들의 출산을 걱정하며 세종이 직접 형조에 명을 내려 노비가 아이를 낳으면 100일 동안 휴가를 주게 했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세종은 더 나아가 남편의 배우자 출산휴가 제도를 실시하기에 이른다.

남편의 육아휴직 제도는 엄마의 심리적 안정 및 보호 차원에서도 추천되어야 하지만 아빠와의 유대 관계가 돈독한 아이는 사회성이 발달해 자신감과 자아성취도가 높게 나타난다고 하니 더욱 적극적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지금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로 우리는 위기와 불안, 불확실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일자리, 교육, 건강관리 등을 비롯해 일하는 방식, 소비하는 방식 등 우리의 삶이 송두리째 바뀌고 있다. 육아 역시 바뀌어야 한다. 육아=여성, 생계부양자=남성이라는 성역할을 뒤집어야 한다. 인성과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협업력, 공감력을 키워주는 육아를 해야 한다. 바로 아빠들의 육아휴직이 중요한 이유다.

저자 최현아는 남편을 육아휴직 시킨 전업주부, 거제와 서울을 오가는 삶, 연년생 남매 맘, 독박육아, 디지털 노마드와 같은 키워드로 설명할 수 있다. 보통은 아내가 워킹맘일 때 남편이 육아휴직을 한다. 어떻게 해서 저자가 전업주부임에도, 그녀의 남편은 육아휴직을 하게 되었을까?

저자는 독박육아를 이겨내려고 애쓰다 실패했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그녀는 실패를 깨끗이 인정한 후 남편에게 육아휴직을 요구했고, 행복을 되찾았다. 저자에게 남편의 육아휴직은 나를 찾는 여정이자 또 다른 세상을 여는 문이었다. 실직의 두려움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여전히 시도하기 어려운 것이 아빠들의 육아휴직이다. 그녀는 디지털 노마드라는 직업이자 라이프스타일에서 그에 대한 해결책을 찾았고, 지금은 남편만큼의 수입을 일구고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