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국립대학교 RISE 사업단,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와 ‘웰니스 이코노미 서밋 코리아’ 개최
[한국강사신문 한상형 기자] 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진회)는 라이즈(RISE) 사업단(단장 황세운) ‘산청군 웰니스 전문가 양성 사업’과 경기대학교 관광종합연구소(소장 고동완)가 11월 22일 가좌캠퍼스 GNU컨벤션센터 ‘웰니스 이코노미 서밋 코리아’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고령사회 진입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이는 웰니스 라이프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현장에는 학계·업계·지자체 관계자와 시민들이 끝까지 자리를 지키며 포럼 열기를 더했다. 행사 중에는 경기대학교, 산청웰니스관광협동조합(대표 김성애), 진주문화상품연구소(소장 강덕제)가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다방면의 협력을 약속했다.
김미자 한국웰니스산업협회장은 기조강연에서 “웰니스 산업의 성장은 관광과 긴밀히 맞물린다.”라며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대되는 미래 산업인 만큼, 한국형 웰니스의 최적지로 산청이 가진 잠재력을 주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상훈 경기대학교 교수는 주제강연에서 올해 3월 20일 시행된 「치유관광산업 육성에 관한 법률」을 언급하며 “웰니스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에 해당하는 공공 의제”라고 설명하고 “웰니스가 단순한 건강·치유를 넘어 사회적 연결과 시민·공동체적 문화까지 포괄해야 한다.”라며, 산청군 웰니스 관광개발 방향과 전략을 발표했다.
전경심 지구와 에너지 수석위원은 미국·유럽의 최신 동향을 소개하며 “한국형 웰니스는 ‘내면의 속도를 늦추고 스스로를 성찰하는 경험’에서 출발해야 한다.”라며 인간 소외의 시대에 회복(Recovery)의 가치를 되살리는 프로그램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상곤 경남항노화연구원 실장은 초고령 사회를 앞둔 시대적 과제 속에서 연구원의 역할을 설명하며, 과학 기반 장수 솔루션의 연구와 검증, 지역 서비스 모델 전환 방안을 제시했다.
토론에는 고성호 박사(코오롱글로벌㈜), 정혜정 총괄코디네이터(산청웰니스관광협동조합), 유명현 전 경상남도 균형발전본부장이 참여했다. 유명현 전 본부장은 “산청의 웰니스 산업과 관광은 지역의 핵심 가치”라며 “산청군과 경상남도가 제도적으로 접근하고 지속적인 연구·예산을 뒷받침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청중 토론 시간에는 지리산권 자원을 최대한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차(茶)와 영성을 결합한 심신 회복 콘텐츠 등 다양한 제안이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5시간 동안 이어진 세션에서 웰니스 산업의 방향성, 지역 적용 방안, 효과 검증 체계 등에 의견을 보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