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보단 워라밸, 소명 의식보단 노동을 말하는 ‘요즘 교사’가 온다

[사진출처=pixabay]
[사진출처=pixabay]

[한국강사신문 김지영 기자] 승진보단 워라밸, 소명 의식보단 노동을 말하는 ‘요즘 교사’가 온다. 1990년대생 교사들이 직접 그들의 학교생활, 교육관, 인간관계를 이야기한다. 동시에 기성세대 교사의 눈에 비친 요즘 교사의 모습도 담았다. 1990년대생 요즘 교사가 교직 사회와 문화를 어떻게 바꾸고 있는지, 이들의 요구에 맞춘 교원 정책은 어떤 방향이어야 하는지 살펴본다.

저자 박상완의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학이시습, 2022.11.04.)》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이 책에서 다루는 질문은 세 가지다. 첫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징은 무엇인가? 1990년대생 교사와 비1990년대생 교사의 개인적 특성과 교직 인식에는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가? 둘째, 1990년대생 교사의 특성 중 교사 세대 간 차이와 세대 내 개인 차이로 볼 수 있는 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러한 1990년대생 교사의 특징은 학교 조직과 교직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4쪽, ‘들어가며: 1990년대생, 교사가 되다’ 중

저는 어쨌든 확실한 건 행정직, 관리자 쪽으로는 전혀 관심이 없어서 승진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고. 근데 교육 일을 계속하고는 싶은 것 같아요. 보람도 좀 있고 해서 교육 쪽에 계속 있고는 싶은데 그냥 계속 그 생활을 할지는 잘 모르겠어서. 저는 개인적으로 그냥 평교사로 정년을 하시는 선생님들이 진짜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D 교사) - 49쪽, 2장 ‘1990년대생이 교사가 된 이유’ 중

교사랑 학생은 친구가 될 수가 없다는 게 제 교육의 가치관이거든요. 교사랑 친구가 된다고 생각하는 그때부터 교실 붕괴가 일어난다고 어느 정도는 생각하기 때문에. (중략) 학생들이랑 소통을 많이 하는 건 중요하지만 거기서도 어느 정도 예의를 지킨다거나 질서를 지킨다거나 그런 선을 지키는 것을 아이들한테 명확하게 알려주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G 교사) - 87쪽, 4장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생 및 동료 교사’ 중

한편, 기성세대 교사는 선배 교사나 학교 관리자를 대우하고 모셔야 하는 대상으로 여기는 반면 90년대생 교사들은 학교 관리자도 그냥 다 같은 동료 교사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 92쪽, 4장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생 및 동료 교사’ 중

문자로 소통하는 문화는 학부모와의 소통을 증거로 남기기 위한 방편이기도 하다. 교사들은 학부모와의 관계는 좋았다가도 언제라도 “돌변할 수 있는” 관계이기 때문에 문자로 증거를 남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90년대생 교사들의 문자를 통한 소통은 자신의 경험을 통해 또는 기성세대 교사들에게 배우면서 강화된다고 할 수 있다. - 115쪽, 5장 ‘1990년대생 교사의 인간관계: 학부모’ 중

[사진출처=학이시습]
[사진출처=학이시습]

저자 박상완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다.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행정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교원정책실에서 근무했고, 부산교육대학교 교무부처장, 기획처장을 지냈다. 현재 지방교육행정기관 조직분석·진단위원, 한국연구재단 비상근 전문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교사교육, 교장 리더십, 비교교육, 학교조직, 교육거버넌스, 교육정의 등이다. 저서로는 『교사와 교사교육』(2021), 『학교장론』(2018), 『한국의 지방교육자치』(공저, 2018), 『교육지도성』(공저, 2014), 『지방분권과 교육』(2013) 등이 있다.

저자 박소영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부 교수다. 서울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교육행정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 매디슨(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에서 교육행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교육개발원 대입제도연구실, 교육제도연구실, 고등국제비교연구실 등에서 근무했고, 숙명여자대학교 교수학습센터장과 교원양성센터장, 교육대학원 교학부장 등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대입제도, 학교 효과, 교사교육, 교육ODA 등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지방교육자치』(공저, 2018), 『한국 교육행정학 연구 핸드북』(공저, 2012), 『교육행정연구법』(공저, 2011) 등이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