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안상현 기자] 『더 넓은 세계사(삼인, 2022.11.09.)』이 만들어진 계기는 20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국내의 대표적인 아프리카·서아시아·중앙아시아·인도·동남아시아·라틴아메리카·오세아니아 역사·문화 연구자들이 기존 세계사 교과서들을 꼼꼼히 분석하였다.

서구와 동아시아에 편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구 중심 관점으로 비서구 지역에 대한 잘못된 견해와 정보를 전달하는 교과서의 문제점을 조목조목 지적해 《오류와 편견으로 가득한 세계사 교과서 바로잡기》라는 책을 펴냈다.

그 후 기존 교과서의 오류를 지적하는 데 그치지 말고 대안을 제시해달라는, 곧 교과서의 오류와 편견을 극복하는 데 길잡이로 삼을 만한 책을 만들어달라는 역사 교사들의 요청이 있었다. 《더 넓은 세계사》는 바로 그 요청에 대한 17년 만의 응답이다. 다만 일부 필자의 사정으로 오세아니아 편이 빠졌고, 아프리카 편과 라틴아메리카 편의 필자가 바뀌었다.

기존 교과서가 우리에게 가르친 세계관은 서로 맞물려 있는 두 동심원과 같다. 마치 지구가 평평하기라도 한 듯이 서구와 동북아시아가 양쪽 중심에 있고, 다른 지역들은 중심을 둘러싼 가장자리 어딘가에 놓여 있다가, 중심축의 이야기에 필요할 때만 조연처럼 단역처럼 등장한다.

그러나 세계는 두 중심축에서 뻗어나간 동심원이 아니다. 세계는 겹겹이 입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고대 유럽의 문명은 이집트·서아시아와 인적·물적으로 교류하면서 탄생했고,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는 유사 이래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관계였다.

중앙아시아 사람들이 끊임없이 인도로 스며드는 사이 인도는 동서 양편에 풍요를 선사했고, 동남아시아는 인도와 중국의 문화를 받아들여 독자적으로 발전시킨 한편 삼각무역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중국, 유럽을 연결했다.

중앙아시아와 동남아시아는 고대부터 근대까지 동서 양편의 문물을 양쪽으로 전달하며 동북아시아와 유럽의 문화 발전을 자극했다.

이 책은 ‘가진 자, 지배자, 식민 강국’의 시선에서 벗어나 세계 곳곳에서 자신들의 역사를 절절히 만들어갔던 주인공들의 자리에서 세계사를 돌아보고자 한다.

[사진출처=삼인]
[사진출처=삼인]

저자 이희수는 한국외국어대를 졸업한 뒤 이스탄불대학교 역사학과에서 중동 역사와 이슬람 문화로 박사 학위를 받고, 튀르키예 이스탄불 마르마라대 중세사학과에서 조교수로 유목문화론과 극동사를 강의했다.

현재 한양대 문화인류학과 명예교수, 성공회대 석좌교수 겸 이슬람문화연구소 소장, 계명대 특임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 《이슬람 학교》, 《이희수 교수의 이슬람》, 《터키사 100》, 《이슬람과 한국문화》, 《Korea and the Muslim World》, 《인류본사》 등이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