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빈빈책방]
[사진출처=빈빈책방]

[한국강사신문 안상현 기자] 우리 고전 문학을 제대로 이해하는 또 다른 방법! 역사에 길이 남을 문학 작품을 지은 11명의 인물로 우리 고전 문학의 역사를 살펴보다!

《신라부터 조선까지 우리 문학을 이끈 11명의 작가들(빈빈책방, 2024.02.14)》은 오천 년에 달하는 역사 속에서 우리 고전 문학을 꽃피운 작가 11명으로 고전 문학사를 알아보는 책이다.

우리 문학이 형성된 시기는 언제였는지, 우리 문학을 처음으로 연 사람은 누구인지부터 출발해 각 작가들이 우리 문학을 어떻게 발전시켜 왔는지 살펴본다. 국어 교과서에서 많이 접해봤던 문학 작품이 어떤 시대적 배경과 작가의 생애 주기 속에서 탄생하게 되었는지 설명해 작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했다.

고전 문학은 어렵고 지루하다고 생각했다면 이 책을 꼭 읽어보기를 바란다. 최치원부터 황현까지 우리 역사에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이들이 글 쓰는 사람으로서는 어떤 삶을 살았는지, 그 삶이 묻어나는 작품과 함께 다뤄 고전 문학에 관한 흥미를 자연스럽게 키워준다.

또한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어렵고 생소한 개념과 역사적 사건을 상세하게 설명했으며 인물별로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 국어 교과 학습에도 도움을 준다. 이 책은 고전 문학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안내서가 될 것이다.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최치원이 세상을 떠난 뒤 많은 학자와 문장가가 그의 작품을 읽었다. 고려 시대 문장가 이규보는 최치원을 ‘한국 문학의 비조’라고 불렀다. 비조는 ‘어떤 학문이나 기술 따위를 처음으로 연 사람’을 뜻한다. 조선 시대에도 많은 학자가 그를 칭찬하고 기렸다. - 23쪽

한 나라의 역사부터 일상 속 작은 생명까지 이규보가 다루는 주제는 넓고도 깊다. 이런 작품 세계를 가진 이규보에게는 작가, 문인보다는 ‘문학의 거장’이라는 칭호가 어울린다. 이규보는 고려 시대를 넘어 한국 문학사에서 손꼽히는 작가로 남았다. 그는 문학을 위해 태어났고, 글을 짓다가 죽었다. - 37쪽

오늘날 김시습 하면 소설 《금오신화金鰲新話》를 먼저 떠올린다.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 소설이기 때문이다. 문학사에서 ‘최초’가 갖는 의미는 굉장히 크다. 《금오신화》는 김시습이 경주의 금오산에 살 때 쓰였다. 제목에 한자 ‘새로울 신新’ 자를 쓴 것은 기존의 문학과 다른, 새로운 문학이라는 뜻이다. - 59쪽

저자 조운찬은 대학에서는 한국사를, 대학원에서는 한문학을 전공했다. 한문 공부를 위해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을 다녔으며, 한때 이곳에서 번역 원고의 교정을 보았다. 직장 생활의 대부분은 경향신문사에서 기자로 보냈다. 여러 부서 가운데 문화부에서 가장 오래 일했으며 베이징 특파원, 문화부장, 논설위원을 역임했다.

기자 시절 신문과 잡지 등 여러 매체에 고전을 쉽게 소개하는 글을 썼으며, 지금도 시대를 관통하는 삶의 지혜를 찾으려 옛글을 뒤적이고, 역사 현장을 찾고, 글을 쓴다. 지은 책으로 《문집탐독》, 《옛글의 풍경에 취하다》가, 함께 옮긴 책으로 《대동소학》, 《중화유기》가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