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민들레]
[사진출처=민들레]

[한국강사신문 안상현 기자] ADHD는 개인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인간에 대한 이해 결핍, 과잉 불안이 빚어낸 문제다!

초등학교 학생들 중에 산만하거나, 지나치게 활동적이거나, 집중력이 부족하거나, 친구 관계에서 과격하거나 돌발적인 행동을 하면 교사는 부모를 불러 말한다. “ADHD 검사를 한번 받아보시는 게 어때요?” 교사의 권위적인 말투에 주눅이 든 부모는, ‘내가 뭘 잘못했나’ 자책하는 마음으로 아이 손을 잡고 병원을 향한다.

그러나 이들 중 정말 치료가 필요한 아이가 얼마나 될까? 이 『이 아이들이 정말 ADHD일까(민들레 2018.12.20.)』는 약물치료에 반대하고 다른 길을 찾고자 하는 부모, ADHD 성향을 보이는 학급 아이들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에게 방향 감각을 찾게 하는 나침반이 되어줄 것이다.

2013년에 나온 도서의 개정증보판이기도 한 이 책에서 저자는 ADHD 판정을 받은 아이가 12년이 흐른 지금까지 어떻게 자랐는지 들려준다.

그리고 초판을 낸 뒤 많은 부모들과 약물치료를 받았던 청년들을 만나며 새롭게 알게 된 사실도 들려준다. 억울하게 약물치료의 희생자가 되고 있는 수많은 ADHD 아동들을 대변하는 이 책은 ADHD가 병이나 장애가 아니라는 진실을 더욱 확실히 보여준다.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나는 아이가 본래부터 가지고 있던 자기 고유의 것을 잘 지키면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해 주는 게 부모로서 내가 할 일이라고 생각했다. 약은 애초부터 단 한 알도 먹인 적이 없다. 행동치료도 받은 적이 없다. 나는 아이를 고쳐야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아이에 대해 더 잘 알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했다.

내가 아이와 같은 편이 되자, 아이는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빠르게 본래의 자기 자신을 찾아가기 시작했고, 놀랄 만큼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협력자가 되었다. 대상이 아니라 주체가 되었고, 엄마와 동지 같은 관계, 협력자의 관계가 되었다.” (들어가는 말_아이에게 내가 배운 것 가운데)

“ADHD 약은 ‘원인을 치료하는 약’이 아니라 ‘증상을 조절하는 약’이기 때문에 약효가 지속되는 시간 동안만 아이의 행동을 조절해 준다고 했다. 따라서 학교에 가는 날만 약을 먹고 학교에 가지 않는 날은 약을 먹을 필요가 없다고 했다.

애초부터 치료를 위한 약도 아니고 부작용도 엄청난 약을 몇 년씩이나 먹어야 하는 이유가 고작 ‘학교를 다니기 위해서’라니! 오직 학교 다니기 위해서 한참 자라는 아이에게, 이제 태어난 지 7년밖에 안 된 어린아이에게 모든 본능적 욕구를 가라앉히는 약을 먹이라니… 그럴 권리가 누구에게 있는 것인가?” (2장_약물치료의 진실 가운데)

저자 김경림은 이화여자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출판사와 사회복지재단에서 일했다. 아이가 ADHD 진단을 받은 일을 계기로 심리상담 공부를 시작해 MBTI 전문가 자격을 얻었다. ADHD를 비롯한 아동 청소년 문제에 관해 글을 쓰고 부모교육 강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쓴 책으로 『사랑하지 않아서가 아니야』가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