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김수인 기자] 반려동물 인구 천만 시대, 그 많은 개들은 모두 어디서 왔을까? 매년 약 15만 마리의 개가 새로운 가족을 찾아 입양되지만 절반이 넘는 9만 마리가 다시 버려진다. 개를 입양한 반려인들이 개가 죽을 때까지 함께하는 비율은 고작 12퍼센트. 가정에 입양되는 열 마리의 강아지 중 고작 한 마리 남짓만이 가족과 평생을 함께한다. 이 땅에 태어나는 모든 강아지로 범위를 넓히면,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는 개의 비율은 뚝 떨어진다. 운이 나쁘면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요행에 요행을 더해 ‘복권 당첨’ 수준으로 운이 좋아야만 반려인과 함께 평생을 보낼 수 있는 것이다.

2018년 기준, 1년 동안 매일 200마리가 넘는 개가 버려졌다. 지자체가 운영하는 유기견 보호소부터 사설 보호소까지, 더 이상 개를 수용할 자리가 없어 재입양되지 못한 유기견의 거의 절반이 안락사로 내몰리고, 임시 보호처에 돌리고 돌려지다 천신만고 끝에 해외로까지 입양을 가는 이 상황은 대체 어디에서 시작된 걸까? 대체 무엇이, 어디서부터 잘못된 것일까?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는 이제 더 이상 낯설지 않은 캠페인이 되었지만 한편에서는 최근까지도 반려동물 관련 논란이 잇따르고 있다. 한 유명 연예인은 펫숍에서 구입한 강아지를 자랑스레 SNS에 올려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입양한 유기묘 영상으로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던 유튜버는 사람들의 동정표를 얻기 위해 유기 사실을 조작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지탄을 받았다.

하지만 정작 반려 산업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 안에서 개들이 어떻게 착취당하는지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람들이 여전히 더 많다. 특히 번식장(개 농장)과 펫숍은 과거 몇 차례 동물보호단체의 폭로와 언론 보도로 그 실상이 알려졌지만 경매장의 경우 관련 사업자등록증 등이 있어야만 현장을 출입할 수 있게 하는 등 일반인의 접근을 엄격하게 막고 있어 제대로 된 실태를 알기 어려웠다. 두 저자는 이런 제한된 취재 환경에도 불구하고 90일간의 잠입 취재를 통해 반려 산업 현장의 면면을 포착해 번식장-경매장-펫숍으로 이어지는 반려 산업의 ‘블랙 트라이앵글’을 세상에 드러냈다.

저서 <선택받지 못한 개의 일생(다산북스, 2020)>은 그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줌으로서 펫숍에서 동물을 사고파는 행위뿐 아니라 TV 예능 프로그램 등에 노출되어 유행이 된 품종견을 그저 귀엽다는 눈빛으로만 바라보고 소비한 적은 없는지, 그것이 왜 문제가 될 수 있는지, 동물을 둘러싼 우리의 태도 전체를 반추해보게 만든다.

저자 신소윤은 〈한겨레〉 기자. 동물 뉴스 팀 애니멀피플에서 일하며 사람이 동물에게 얼마나 많은 빚을 지고 사는지 겨우 알게 되었다.지은 책으로는 고양이 만세와 함께 쓴 《나는 냥이로소이다》가 있다.

저자 김지숙은 〈한겨레〉 애니멀피플의 동물 뉴스 취재기자로 일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개빠’였으나 주변 지인들의 고양이 보모를 하다가 동물 세계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개, 고양이, 돌고래는 좋아하지만 조류는 아직 무섭다. 동물 취재 기자로 일하며 한국에 사는 동물의 이 끝과 저 끝을 탐구하고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