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강사 따라잡기, “지식인 질문하기가 아니라 청중에게 질문하기!”

[한국강사신문 신동국 칼럼니스트] “나도 할 수 있다. 명강사 따라잡기, 이젠 ‘지식인 질문하기’가 아니라 ‘청중에게 질문하기!”

예전 우연히 스포츠 뉴스를 보는데 눈에 확 띄는 장면이 있었다. 기자가 포항스틸러스 황선홍 축구감독에게 물었다.

“최근 팀의 승승장구 비결을 한마디로 뭐라고 할 수 있을까요?” “팀이 위기에 처했을 때, 그 돌파 전략으로 소크라테스 사상을 기초로 한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을 활용했습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해주시겠어요?”

“네, 저는 선수들에게 수차례 질문을 던져서 답변을 유도했습니다. 선수들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깨우치는 과정을 통해 투쟁심과 긴장감을 고취시켰습니다.”

고대 그리스의 위대한 철학자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반영한 산파술이 시대를 뛰어넘는 최고의 명강사 강의 기법으로 지금도 각광을 받고 있다. 도대체 어떤 비결이 담겨 있기에 축구감독 황선홍도 즐겨 썼을까?

‘산파’란 아이를 직접 낳는 것이 아니라 아이를 낳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산파’는 출산 현장에서 철저히 보조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스승이 제자들에게 답을 직접 주는 것이 아니라, 답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이것이 산파술의 핵심이다. 소크라테스는 생각을 자극하는 질문을 제자들에게 계속 던짐으로써 제자들 스스로 깨우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이러한 기법을 산파에 비유하여 산파술이라고 명명한 것이다. 새로운 지식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머릿속에 있는 지식을 꺼내는 것이기 때문에 최고의 명강사 강의 기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은 명강사 강의 기법 측면에서도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그 질문의 비밀노트를 지금 공개한다.

첫째, 명강사는 청중이 강의에 최대한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청중이 대답을 해야 하기 때문에 딴 생각을 할 겨를이 없다.

둘째, 명강사는 청중 스스로 생각하고 깨우치도록 한다. 일방적인 전달식으로 쏟아 붓는 강의가 아니라, 문답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셋째, 명강사는 청중이 질문에 답을 하면 할수록 더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뿐만 아니라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명확히 구분할 수 있다.

넷째, 명강사는 질문이 청중의 기억에 오래 남는다는 것을 잘 안다. 단순히 전해들은 지식은 쉽게 잊어버린다. 그러나 스스로 생각해서 스스로 깨우치면 쉽게 잊지 않는다.

실제로 강의 현장에서 가장 많이 접하는 강의가 일방 전달식의 강의다. 명강사 따라잡기가 불가능해진다. 강사가 중심이 되어 일방적으로 쏟아 붓는 일방 전달식의 교육은 집중력도 떨어지고 청중의 이해도도 낮다. 그러나 청중에게 질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강의를 진행하면 청중은 훨씬 더 집중하고 이해도도 높다. 따라서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작용’은 한마디로 임도 보고 뽕도 따는 강의 기법이다. 이제 강의에서 청중과의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작용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하지만 질의응답을 통한 상호작용이 좋다고 해서 마구잡이로 질문을 던져서는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그래서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이 중요하다. 청중과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효과적인지 그 요령을 제대로 알고 구사해야 한다.

강사가 청중에게 ‘질문을 할 때’는 다음의 중요한 포인트에 유념해야 한다.

질문의 비밀노트 1. 강사의 질문에 대해 청중이 답변을 하면, 반드시 그 말을 요약해주어야 한다. 청중은 강사만 들을 수 있게 작은 목소리로 말하는 경우가 많다. 뒤쪽에 앉은 청중은 잘 안 들리거나 소외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청중이 모두 알아들을 수 있도록 다시 요약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질문의 비밀노트 2. 반복 요약을 하고 나면 반드시 칭찬을 곁들인다. “핵심을 꿰뚫는 훌륭한 답변입니다”라는 말에 청중은 기분이 좋아진다. 강사로서는 적극적인 우군이 될 수 있다. 칭찬하기가 마땅치 않으면 박수를 유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질의응답 요령은 이처럼 크게 어렵지 않다. 그런데 90% 이상의 강사들이 반복 요약이나 칭찬을 안 한다. 반복 요약과 칭찬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을 잊지 말자.

명강사 따라잡기를 원한다면 이젠 ‘지식인 질문하기’가 아니라 ‘청중에게 질문하기’를 실천해보자. 세 마리의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질문의 비밀노트를 펼쳐보자!

※ 참고자료 : 『하고 싶다 명강의 되고 싶다 명강사(끌리는책, 2016)』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