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KBS]
[사진출처=KBS]

[한국강사신문 이미숙 기자] 9일 한국인의 밥상에서는 찬바람 불면 더 풍성해지는 바다의 맛! 방어와 대삼치 돌돔과 물메기 ‘해산물 1번지’ 통영의 제철 밥상까지, 짙푸른 바다에서 건져 올린 계절의 진미를 만나다.

[사진출처=KBS]
[사진출처=KBS]

<추워질수록 맛있다! 방어와 대삼치로 차린 푸짐한 밥상>

아침 일찍 통영을 떠난 배 한 척이 두 시간 가까이 달려 도착한 곳은 통영시 한산면의 홍도. 민종홍 선장은 갈매기 떼가 가득한 것을 보더니 바로 낚시 준비를 하는데. 바다 속에 갈매기 떼가 노리는 멸치 떼가 있기 때문이고. 그렇다면 멸치와 갈치 등을 잡아먹는 오늘의 주인공 방어가 가까이 있을 확률도 매우 높단다.

반짝거리는 갈치 모양의 인공 미끼를 던진 뒤 분주해지는 그들. 낚싯대를 위아래로 바삐 움직이는 이유는 갈치인 척 방어를 유혹해 잡기 위해서라고. 그 순간! 큰 방어가 미끼를 문다. 하지만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방어가 미끼를 물었다 싶으면 ‘밀당’이 필요하다는데. 시속 40km로 헤엄칠 만큼 빠르고 힘이 센 녀석이라 자칫하면 낚싯줄이 끊어질 수도 있다고. 결국 낚싯대를 드리웠던 세 사람 모두가 1미터 가까운 방어를 낚는데 성공한다.

그런데 그게 끝이 아니었다. 대삼치가 미끼를 물었다. 방어와 비슷한 환경에서 출몰한다는 삼치다. 80cm를 넘으면 대삼치라고 하는데 오늘 문 삼치는 1m 20cm로 엄청 큰 대삼치를 낚았다고!

배 위에서 갓 잡은 방어회를 맛보는 민종홍 선장과 동료들. 특수부위로 몇 점 안 나오는 ‘턱살’, 운동량이 많아 다른 부위보다 탄탄하다는 ‘꼬릿살’, 등뼈에 붙어 소고기 육회에 비유될 만큼 식감이 좋다는 ‘사잇살’까지 각자 취향대로 맛본다.

배가 뭍에 닿자마자 오늘 잡은 방어와 삼치를 들고 어딘가로 향하는 민종홍 선장. 매운탕을 기가 막히게 끓이는 이웃 어머님이 계시단다. 방어매운탕, 방어전에 대삼치 통구이와 삼치초밥까지! 방어와 대삼치로 차린 푸짐한 밥상을 맛본다.

[사진출처=KBS]
[사진출처=KBS]

<경남 고성 앞바다에서 건져 올린 다정한 겨울 밥상>

경남 고성군의 작은 바닷가마을. 임진왜란 때 수군 막사가 있었다고 해 큰막개라고 불린단다. 이른 아침부터 부지런히 출어하는 이광석 선장을 따라 앞바다로 향한다. 그의 평생 일터는 배로 5분 거리의 가까운 바다. 마을을 마주 보고 있는 작은 섬 궁도 근처다. 풍수지리상 궁도는 마을의 대문 역할을 해 큰막개는 대문이 한 집도 없을 정도라고.

큰막개 앞바다는 조류가 거세서 물고기 맛이 좋다고 알려져 있단다. 광석 씨는 요즘 한창 돌돔을 잡는데 돌돔은 이빨이 세서 고둥 같은 것들도 잘 씹어 먹기 때문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고.

조업을 끝내고 선착장으로 들어오는 광석 씨를 기다리고 있는 이는 아내 옥련 씨. 광석 씨는 배에서 내리지도 않고 빠른 손으로 갓 잡은 돌돔과 그물에 같이 걸린 무늬오징어를 회 뜬다. 종종 부부는 이렇게 아침식사를 한단다.

점심이 가까워질 무렵 광석 씨 부부는 돌돔을 챙겨들고 이웃집으로 향한다. 어린시절부터 함께 자란 동네친구 외경 씨와 노모의 집이다. 큰막개 스타일로 끓이는 돌돔맑은탕은 방아 잎 조금과 겨울 무를 삐져 넣어 끓인다는데. 대구, 메기와는 다른 진한 돌돔만의 맛이 난다고. 경남 고성 특산물인 홍가리비와 흰다리새우를 곁들인 돌돔구이부터 모자반과 콩나물을 잔뜩 넣고 무친 ‘설침’까지. 큰막개 마을의 따뜻한 밥상을 만나본다.

[사진출처=KBS]
[사진출처=KBS]

<‘해산물 1번지’ 통영에서 만나는 제철 한상>

통영시 산양읍 중화마을. 너른 바다를 품은 중화마을에는 박화자 씨와 두 딸 지미향 씨, 지무결 씨가 살고 있다. 오늘 미향 씨와 무결 씨는 어머니의 손맛을 이어받아 옛 수군통제영의 음식부터 제철 해산물까지 제대로 통영의 한 상을 차리겠단다.

팔순 노모와 자매가 함께 차리는 오늘의 첫 요리는 개조개유곽. 커다란 조갯살을 다져 양념해 볶은 뒤 조개껍데기에 담아 숯불에 굽는다. 초등학교 시절 소풍 때면 어머니가 싸주셨지만 하도 맛이 좋아 도시락 뚜껑을 여는 순간 친구들이 모두 빼앗아 먹곤 했단다.

그 다음은 통영‘너물’이다. 나물이 아니고 ‘너물’이라고 불러야 하는 이유가 있단다. 최소 7가지에서 11가지 나물을 무쳐내고. 그 중에는 통영답게 해초도 많단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나물을 빙 둘러 담은 그릇 가운데에는 반드시 두부탕국이 들어가야 통영 ‘너물’은 완성된다고.

모양이 독특하고 아름다워 비녀고둥이라고도 부른다는 촛대고둥회와 밀치(가숭어)회, 홍합과 문어와 전복을 참기름과 어간장에 무쳐내는 통영식 해산물초(炒), 밀가루를 쓰는 다른 지역의 약과와 달리 쌀가루를 써서 빚은 뒤 튀지기 않고 구워내는 통영 약과까지. 통영의 풍요로운 제철음식들을 통영 소반에 가득 담아본다.

[사진출처=KBS]
[사진출처=KBS]

<찬바람 불면 찾아오는 반가운 손님! 고성 물메기 밥상>

경남 고성군의 조용하고 아담한 항구 거운항. 이영일 선장이 해마다 이맘때면 기다리는 귀한 손님이 있다는데. 그물을 타고 올라오는 못생긴 녀석. 겨울 바다의 진객 물메기다. 날이 추워질수록 살이 차올라 최고의 맛을 자랑하는 물메기는 예전엔 못생기고 살이 흐물흐물해 생선 취급도 하지 않았다는데. 물론 이젠 없어서 못 파는 귀하신 몸이라고.

컴퓨터공학을 전공한 영일 씨는 한때 도시에서의 삶을 꿈꿨지만 자신의 자리가 고향 바다임을 깨닫는 데는 오래 걸리지 않았다고. 영일 씨가 고향 바다에 자리 잡은 지도 삼십 년. 이제 노련한 어부가 된 영일 씨 곁에는 아내 윤옥이 씨가 있다. 유난히 금슬 좋은 이 부부는 대학에서 만나 첫눈에 반한 사이라고. 오늘 부부는 두 사람의 연애사를 모두 알고 있는 대학교 동창들을 초대해 밥상을 함께 나누고 싶단다.

무를 삐져넣어 시원하게 끓인 물메기탕, 반건조한 물메기로 얼큰하게 지져낸 묾기조림, 물메기와 함께 올라온 아귀에서 내장만 따로 꺼내 만든 아귀내장볶음까지. 고성 거운항 이영일 선장 부부가 함께 차린 유쾌한 밥상을 540회 한국인의 밥상 ‘이 겨울 제맛! 통영·고성 제철 밥’에서 만나본다.

* 한국인의 밥상 기본정보-국민배우 최불암(나이-1940년생)의 진행으로 지역 대표 음식들의 숨겨진 이야기와 역사, 그리고 음식문화 등을 아름다운 영상과 깊이 있는 취재를 통해 매주 한편의 '푸드멘터리'로 꾸며내는 시사/교양프로그램이다. 공식영상, 회차정보, 재방송까지도 시청자의 관심을 끌고 있다. 방송시간은 매주 목요일 저녁 7시 40분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