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출처=김명식]
[사진출처=김명식]

[한국강사신문 안상현 기자] 삼각산(三角山)은 북한산의 별칭으로 백운대(白雲臺, 835.6m), 인수봉(人壽峰, 811.1m), 만경대(萬鏡臺, 800.6m)의 세 봉우리가 있어서 불리게 된 이름이다. 그 산 아래 강북구 수유동에 재미난마을이 있고, 중심엔 삼각산재미난학교가 있다.

삼각산재미난학교는 2004년 3월 1일 미인가 대안학교로 개교하여, 2023년 2월 15일 서울특별시교육청 대안교육기관으로 등록한 초·중등 대안교육기관이다. ‘따뜻한 돌봄과 자유로운 배움이 일어나는 마을 속 학교공동체’ 교육철학을 지향하며, 서로 돌보고 함께 배우며 더불어 성장해가는 학교·마을공동체다.

이 학교의 학부모와 교사는 별명으로 불린다. 자유로운 사고를 위해 어른에게는 별명을, 학생에게는 이름을 부른다. 오늘 만나볼 주인공인 삼각산재미난학교 학부모인 김명식 씨도 ‘민들레’라는 별명을 사용한다.

Q. 자기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식입니다. 마을에서 본명으로 불릴일이 없으니 이름을 말하는게 어색하군요. 생계를 위해 공무원 일을 하고 있고요, 마을에서는 ‘민들레’라는 별칭을 쓰고 있습니다. 제가 제일 좋아했던 노래 중 하나였던 ‘민들레처럼’에서 따온 것입니다. 딸아이가 2015년에 재미난학교에 들어와서 9년째 다니고 있습니다.

Q. 언제, 어떤 계기로 삼각산재미난학교에 자녀를 보내게 되었는지요?

재미난학교에 오기 전에는 대구에 살고 있었어요. 특정적인 계기는 없었고, 살아오면서 갖게 된 교육에 대한 가치관이 대안교육과 결이 맞았어요. 살고 있던 대구에는 대안학교가 없었기에 직장을 고려해 서울에 있는 학교들을 알아보게 되었어요. 서울에 있는 학교 중 재미난학교의 교육철학과 환경이 제일 마음에 들어서 오게 되었습니다.

Q. 삼각산재미난학교는 어떤 학교인가요?

교육철학인 따뜻한 돌봄 안에서 자유롭게 배우는 마을 속 교육공동체를 실천해가는 학교에요. 그 동안 만난 내외부의 많은 부모님들이 물어봤던 ‘어떤 아이가 되길 바라냐?’라는 질문으로 바꿔 답하고 싶네요. 재미난학교는 ‘자발적이고 주체적이며 함께 살아갈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학교라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자발성’은 안전하다고 생각되지 않으면 발현되기 어려우니 아이들이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는 ‘따뜻한 돌봄’을 추구하죠. ‘주체성’은 결코 일방적·획일적 상황에서 일어나기 어렵고, 심지어 훈련도 필요한 것이라 ‘자유로운 배움’을 추구합니다.

‘연대(함께 살아갈 줄 아는)’는 나 혼자 살아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보다는 함께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더 안전하고 이로운지 그리고 즐거우면서도 더 많이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마을속 교육공동체’를 추구하는 학교라고 생각합니다.

[사진출처=김명식]
[사진출처=김명식]

Q. 재미난학교 학부모로 생활하면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가 있다면?

한 가지만 꼽기는 어려운데요. 개인적으로는 수유재 활동을 하면서 재미난마을 축제를 열었던 것이 기억에 남네요. 수유재는 '마을 속 수많은 배움, 유연한 배움, 재미난 배움'을 엮어가는 우리마을 배움터입니다. 2014년 부모학교위원회를 전신으로 해서, 2015년 부모교육의 기틀을 강화하며 학교와 역할을 분담하여 교육운영을 체계화하는 과정을 거쳐 2017년 '마을 배움터 수유재'로 발돔움하였습니다.

재미난학교 학부모들이 글쓰기, 드로잉, 사진 촬영, 책 읽기, 영화 상영, 댄스, 요리 등 강좌나 모임을 기획해서 함께 배우고 즐기는 시간을 함께 하고자 했어요. 그리고 그런 활동들을 한데 모아 전시도 하고, 공연도 하고, 장터도 같이 열었던 것이 ‘재미난마을 축제’였어요.

수유재 프로그램이 아니었더라도 1년 동안 부모들이 마을에서 했던 여러 활동들을 한데 어우러지게 하고 싶어서 만든 축제였고, 참여하는 구성원들의 반응도 좋았어요. 재미난학교를 다니면서 하고 싶었던 일들을 마음껏 펼쳐낼 수 있었던 시간들이라 기억에 많이 남아요.

Q. 자녀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어려운 질문이네요.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교육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냐고 묻는 것이라면 저는 첫 번째도 ‘인내’ 마지막도 ‘인내’라고 생각합니다. 제일 중요하다기보다 제일 어렵거든요.

‘자발적이고 주체적이며 함께 살아갈 줄 아는 사람’은 쉬운게 아니잖아요. 아이를 제쳐두고 우선 ‘내가 그런 사람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본다면 곧 저도 나이 오십인데 대답을 잘 못하겠어요. 내가 그렇게 살지 못하는데, 우리 아이에게 그렇게 살아가라고 말하기 어렵잖아요. ‘아이는 부모의 거울이다. 아이는 부모의 뒷 모습을 보며 자란다.’라고 흔히 말하는데 사실 가장 두려운 말이예요.

나이 오십에도 잘 안 되는 삶의 태도나 실천을 16살 미만의 아이들이 해내려면 생각보다 긴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 의외로 부모들이 이 시간을 인내해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사춘기에 들어서기라도 한다면 더 괴롭죠.

아이의 기질과 성향을 인정하기 위해, 아이의 바람과 욕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 위해, 사실 부모의 욕망과 욕구에 의한 것이면서 아이를 위해서라고 착각하거나 거짓말하지 않기 위해, 내 아이의 성장을 고정화된 사회적 잣대 또는 다른 아이와 비교하지 않기 위해, 아이를 믿고 변해가는 모습을 지켜볼 자신감을 갖기 위해, 아이가 지금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듣기 위해서라도 가장 필요한 것이 ‘참고 기다리는 힘’임을 깨달았어요.

더 정확히는 ‘애정의 눈으로, 믿고 지지하는 마음으로, 아이를 올곧이 받아들이는 자세로, 도움을 원하면 언제든 손을 내밀 준비를 하고’ 기다려야 제대로 된 기다림이라고 생각해요. 지금도 너무 너무 어렵습니다.

Q. 자녀를 대안학교에 보낸 후 힘들었거나 후회되었던 점은 무엇인가요?

후회는 없었고, 코로나라는 전대미문의 단절의 시기, 그 시기를 좀 더 현명하게 대처해 나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우리 아이 학년은 코로나를 맞이한 첫 초등 졸업생들이었는데, 졸업여행도 못 갔고, 졸업식도 제대로 못했어요.

대안학교는 지금껏 늘 우리 사회의 구조화된 교육에 맞서 우리만의 배움을 일구어 나가려 하고, 우리의 배움을 무시하고 빼앗으려 하면 싸움도 하고, 그렇게 말 안 듣기로 유명한 집단이었어요. 모두가 처음 맞이하는 상황에 그 동안의 자신감과 창조성 등 크게 결여된 채 그 시기를 지내온 듯 해요.

물론 일반 제도권 학교들보다는 규모도 작고, 감독의 강도가 약해 훨씬 상황이 좋았고, 이를 위해 교사들이 정말 애를 많이 썼기 때문에 감사함이 큽니다. 하지만 우리 공동체 전체가 좀 더 용기를 가졌어도 되지 않았을까, 겁먹지 말고 조금 더 어울렸어도 되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아요.

다시 그런 상황이 온다면 그 때의 구성원들은 어떤 결정을 할지 잘 모르겠지만, 지금의 개인적 평가로서는 좀 더 과감하게 우리가 하고 싶은 대로, 우리가 할 수 있는, 좀 더 창의적 방법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으면 합니다.

Q. 재미난학교 입학을 고민하는 학부모에게 꼭 해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

조금 동문서답식으로 답변을 해야 할 것 같은데요. 우리 아이들에게 대안교육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교육이 제자리로 돌아가길 바라는 교육’이 대안교육이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이 어디에서든 ‘제자리도 돌아간 교육’을 받을 수 있길 바랍니다.

대한민국에는 교육의 기준을 정한 「교육기본법」이 있어요, 이 법 제2조에는 대한민국의 교육이념이 이렇게 적혀있어요.

“교육은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人類共榮)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도권 교육과 재미난학교를 비교해보세요. 대안교육이 추구하는 ‘자발적이고 주체적이며 함께 살아갈 줄 아는 사람’으로 아이를 키우고자 하는 목표가 일반학교와 재미난학교 중 어디에 더 가까울까요? 대안교육이 오히려 교육기본법 취지에 더 맞지 않을까요?

아이들이 ‘위법하게’ 살아가는 것이 탐탁치 않는 부모들이 있으시다면, 무한경쟁과 시험성적이 아이 자신의 존귀함과 행복을 가늠짓는 최선의 평가 툴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생각을 가진 분이라면, 누구라도 대안학교의 문을 두드려보시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관련기사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