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강사신문 장한별 기자] 전북대학교(총장 양오봉)는 RISE 사업을 통해 ‘염소 전용 동물용의약품 국산화’와 ‘초광역 동물용의약품 혁신 허브 구축’을 동시에 추진하며 우리나라 동물용의약품 산업의 혁신 거점 도약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대는 최근 ‘염소 전용 의약품 확충 및 국산화: AI 기반 동물용의약품 개발 및 현장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 사업은 소·돼지에 편중돼 있던 동물용의약품 개발을 염소로 확대해, 국내 사육 두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염소 산업에 특화된 전용 국산 의약품을 확보하고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에 AI 기반 시스템을 통해 농장 현장에서 수집되는 생체·환경 데이터를 분석, 질병 발생 위험을 조기에 예측하고 맞춤형 처방·관리를 지원하는 현장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해 농가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수의과대학 박철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고, 의과대학 김희권 교수, 자연과학대학 홍승표 교수가 핵심 연구를 이끈다. 여기에 (재)한국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 ㈜우진비앤지, (재)동물용의약품상용화기술연구조합 등 외부 연구기관이 참여해 염소 전용 의약품 개발과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연구진은 AI 분석 결과를 염소 전용 의약품 처방과 연계해 ‘맞춤형 질병 관리 체계’를 구현, 실제 농가에서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더불어 전북대는 동물용의약품 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초광역 혁신 허브 구축에도 나선다. ‘초광역 동물용의약품 혁신 허브 구축: 신약·자가백신 평가 가이드라인 및 규제 개혁 선도 모델’ 과제를 통해 신약·자가백신에 대한 국제 수준의 과학적 평가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연구·평가·실증·인재양성을 아우르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 과제는 수의과대학 김원일 교수가 책임을 맡아 진행하며, (재)동물용의약품평가연구원, (재)포항테크노파크 그린백신실증지원센터, 포스텍, 전북대학교 지역혁신센터 등이 참여해 역할을 분담한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