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속에서 만나는 인공지능의 지혜로운 활용 방안 찾기

[바이브 코딩 지침]
[바이브 코딩 지침]

[한국강사신문 이용호 칼럼니스트] 최근 몇 년 사이, 개발 환경은 눈에 띄게 변했다. 예전에는 IDE와 문서, 그리고 사람의 손끝에서만 탄생하던 코드가 이제는 AI와의 대화를 통해 실시간으로 만들어진다. ‘바이브 코딩(Vibe Coding)’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도 이 때문이다. AI가 개발자의 의도를 읽고, 필요한 코드를 만들어 주는 시대가 열린 것이다. 하지만 이 새로운 환경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 하나가 많은 개발자 앞에 놓였다.

“AI에게 어떻게 말해야 내가 원하는 코드가 나올까?”

처음 AI 코딩 도구를 접한 사람들은 대부분 비슷한 실수를 한다. “일정관리 앱을 만들어줘”처럼 짧고 단순한 요청을 보내고, AI가 생성한 결과를 보고 실망한다. 기능은 기본 수준에 그치고, 코드 스타일도 제각각이며, 프로젝트 구조와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중요한 깨달음이 있다. 바이브 코딩의 성패를 가르는 것은 AI가 아니라 프롬프트, 즉 개발자가 AI에게 건네는 지침이다.

“자연스럽게 대화하라”의 오해

바이브 코딩은 AI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듯 코드를 만드는 방식이다. 하지만 자연스럽다는 말은 아무렇게나 말해도 된다는 뜻이 아니다. 오히려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표현이 필요하다. AI는 사람처럼 상황을 완벽히 추론하지 못한다. 주어진 정보 안에서만 판단한다. 따라서 우리가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개발 환경, 기술 스택, 세부 기능, 예외 처리 조건까지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일정관리 앱을 만들어줘”라고 하면 AI는 ‘일정관리’라는 단어에서 기본적인 입력·삭제·완료 기능만 구현한다. 하지만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데이터 저장 방식, 상태 관리 도구, UI 스타일, 반응형 지원 여부, 접근성 고려, 테스트 구조 등 수많은 요소가 필요하다. 이 모든 요소를 포함한 요청을 보내야만 우리가 원하는 ‘제대로 된 코드’를 받을 수 있다.

AI에게 요청을 다듬어 달라고 요청하기

놀랍게도, 지침을 개선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AI에게 “내 지침을 더 나아지게 만들어 달라”고 묻는 것이다.

“일정관리 앱을 만들고 싶은데, 내 요청을 더 구체적이고 효과적으로 만들어줄 수 있어?”

이렇게 물으면 AI는 기술 스택, 상태 관리, 스타일링 방식, 핵심 기능, UI/UX 요구사항, 코드 품질 기준 등을 항목별로 정리해 준다. 이때부터는 단순한 코드 생성이 아니라, 설계와 구현을 함께 진행하는 개발 파트너십이 시작된다.

프롬프트 작성의 세 가지 전략

요청 구조화: 의도를 분명히 전달
요청은 ‘목표 → 기술 요구사항 → 기능 명세 → UI 요구사항 → 예외 처리’ 순서로 나누어 작성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로그인 페이지 만들어줘” 대신, 사용하는 프레임워크·라이브러리, 인증 방식, 에러 처리 규칙, 반응형 여부까지 적어주면 AI가 훨씬 일관된 코드를 제공한다.

레퍼런스 활용: 코드 스타일 맞추기
AI가 생성하는 코드는 기본적으로 중립적인 스타일을 따른다. 하지만 프로젝트마다 코딩 스타일과 아키텍처가 다르다. 이때 기존 코드 예시, 디렉터리 구조, 에러 처리 패턴 등을 레퍼런스로 제공하면 결과물이 프로젝트에 잘 녹아든다.

단계별 개발: 복잡도를 줄이고 품질을 높이기
한 번에 많은 기능을 구현하려 하면 AI도 실수를 한다. 계획을 세운 뒤, 작은 단위로 나누어 구현하고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실시간 채팅 앱을 만든다면, UI → WebSocket 연결 → 메시지 기능 → 사용자 관리 → 채팅방 관리 순으로 나누는 것이 효과적이다.

AI를 ‘개발 파트너’로 대하는 문화

바이브 코딩의 본질은 AI를 단순한 코드 생성기가 아닌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파트너로 여기는 데 있다. 계획 단계에서는 구현 방법을 묻고, 구현 단계에서는 코드 효율성을 검토받으며, 검증 단계에서는 보안·성능·사용자 경험을 점검하고, 개선 단계에서는 피드백을 반영한다.

이런 협업은 개발 속도를 높일 뿐 아니라, 코드 품질과 유지보수 성능까지 향상시킨다. 더 중요한 것은, AI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발자가 스스로 더 나은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는 점이다.

결론: 말이 곧 코드다

바이브 코딩에서 프롬프트는 단순한 지시문이 아니다. 그것은 코드의 설계도이며, 협업의 출발점이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요청이 있어야 AI는 그에 맞는 코드를 제안할 수 있다. 결국 AI 시대의 개발 역량은 ‘무엇을 어떻게 만들지’뿐 아니라, ‘그것을 AI에게 어떻게 설명할지’에 달려 있다.

앞으로 AI와 함께 일하는 개발자라면 이렇게 기억해야 한다.

AI에게 더 나은 질문을 하라

지침을 구조화하고 맥락을 제공하라

기존 코드를 참고시켜라

복잡한 기능은 단계별로 나누라

AI를 파트너로 대하고 피드백을 주고받으라

코드보다 중요한 말이 있다. 그것이 곧 프롬프트다. 이 말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당신의 AI 코딩은 단순한 ‘자동 코드 생성’에서 진짜 ‘창의적 협업’으로 진화할 수 있다.

칼럼니스트 프로필

이용호 칼럼니스트는 스마트공장에서 주로 사용되는 ‘AI 머신비전’ 전문회사인 ‘호연지재’를 경영하고 있다. ‘머신비전’에서 인공지능 딥러닝에 의한 영상처리기술을 자주 적용하다보니 10년 이상 연구한 AI 분야에 대해서도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아 현재는 인공지능 커뮤니티인 ‘AI 에이전트 연구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SKT 이프랜드 플랫폼에서 3년 이상 인플루언서로 활동하며 ‘호몽캠프’를 110회 이상 진행한 바 있다.

칼럼니스트는 ‘50플러스 오픈랩’이라는 중장년과 시니어의 디지털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 플랫폼에서 수석 가디언즈로 AI 분야의 전도사로 활동하기도 한다.

주요 강의 분야는 “챗GPT 시대 생산성을 4000% 높여주는 인공지능”, “머신비전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손에 잡히는 인공지능”,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황금키”, “스마트폰 AI 활용하기”, “시니어와 MZ세대간의 소통”등이 있으며, 저서로는 『손에 잡히는 인공지능』, 『나는 시니어 인플루언서다』가 있다.

관련기사

주요기사
저작권자 © 한국강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